본문 바로가기
정보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차림그림

by returntobayaya 2024. 2. 6.
반응형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차림그림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 해의 시작인 설날이 다가옵니다. 명절이 오는만큼 준비해야 할 부분이 많은데요, 설날(설)은 한 해의 시작인 음력 1월 1일을 일컫는 말로 올해는 2월 10일이 설날입니다.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차림그림



설 명절은 한 해의 최초 명절이라는 의미도 있으며, 대보름까지 이어지는 민족 최대의 명절로써 삼국시대부터 내려져 오는 거대한 풍습이 많지만, 오늘날 보통 조상에 차례를 지내는 것만 남아있습니다. 차례는 설날과 추석에 조상님께 감사하는 의식을 지내는 것으로 과일 방향과 놓는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아 집안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요,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은 제사상과 다르게 설날에는 밥 대신 떡국을 놓고 추석에는 밥 대신 송편을 놓습니다.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차림그림을 좀 더 자세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성균관에서 간소화 차례상의 표준안을 내놓았습니다. 간소화된 상차림의 기본 음식은 떡국, 나물, 구이,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만으로도 족하지만 더 올린다면 육류, 생선, 떡 3종을 추가해 9가지면 충분하다고 합니다. 또한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음식을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고 하네요.

 

 

 

◆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음식 : 송편, 삼색나물, 구이, 김치, 네 가지 과실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근거는?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그렇다면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대로 해도 되는 걸까요? 설날은 고대부터 있었지만, 오늘날과 같은 설 차례의 기원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잘라 말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중국 송나라의 주자가 쓴 ‘가례(家禮)’라는 예서가 들어와서 사대부가에 사당이 설립되면서부터 설 차례가 행해진 것으로 판단되는데, 한국에서는 민간명절을 가리키는 속절(俗節)에 사당에 모신 조상께 시절음식을 올린다고 되어 있고 이러한 형태의 약식 제사가 한국의 명절 차례로 정착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예기’의 ‘악기’에 따르면 큰 예법은 간략해야 한다(대례필간·大禮必簡)는 말이 나옵니다. 조상을 기리는 마음은 음식의 가짓수에 있지 않으니 많이 차리려 애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차례상에서 전이 빠진 근거는 조선 숙종시기 편찬된 사계전서(사계 김장생)에 나오는데 사계전서 제 41권 의례문해에서 “밀과나 유병 등 기름진 음식을 써서 제사 지내는 것은 예법에 어긋난다”고 했습니다. ‘기름진 음식을 쓰지 말라’고 했으니 튀기고 부치는 것 역시 포함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네요.

마지막으로 ‘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도 옛 문헌에 없는 표현으로 정해진 음식 배치가 없으니 “편하게 놓으면 된다”고 합니다.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신위 : 사진과 지방

사당이 없는 일반 가정에서는 지방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괜찮습니다.

  과일 놓는 방법

예법을 다룬 문헌에 홍동백서나 조율이시라는 표현은 없습니다. 과일의 경우 4~6가지를 편하게 놓으면 됩니다.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됩니다.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는 일은 이제 그만두셔도 됩니다.

  성묘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가는 집도 있고, 차례를 지내지 않고 바로 성묘하는 집도 있습니다. 가족이 논의해서 정하면 됩니다.

 



설 차례상 차림그림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설 차례 지내는 순서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설 차례상 차림그림으로 보니 한 눈에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이 이해가 되시죠? 그럼 설 차례 지내는 순서를 알아보겠습니다. 차례 절차 역시 지역, 집안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문화재청의 ‘알기 쉬운 명절 차례와 제사’를 참고했는데요, 차례 지내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진설 → 강신·참신 → 헌작 → 유식 → 사신’

 

1. 진설 : 제사상을 차린다는 말로, 상을 차린 후 지방을 붙이고 상 앞에 함께 차례대로 섭니다.

2. 강신·참신 :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인 제주(祭主)가 향을 피우고 잔에 술을 따릅니다. 그리고 술을 모삿그릇에 붓고, 제주가 두 번 절하면 참석한 다른 분들도 두 번 절합니다.

3. 헌작 : 잔에 술을 따르고, 이를 지방 앞에 놓은 뒤 떡국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떡국 그릇 위에 걸쳐 둡니다. 그리고 집안에 따라 축문을 읽거나 생략합니다.

4. 유식 : 참석자 모두가 고개를 숙이고 엎드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5. 사신 : 떡국에 올려두었던 수저를 내리고 뚜껑을 덮습니다. 그리고 참석자 모두 제자리에 서서 두 번 절하는 것으로 마무리됩니다.

​6. 음복 : 차례가 끝난 뒤에는 차례에 사용된 음식을 나눠 먹는 것으로 음복에는 신이 내린 복을 받는다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가족들과 함께 음식을 먹으며 새해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차례 지내는 순서 자세히

● 차례는 조상께 드리는 새해 인사이기 때문에 몸을 깨끗이 씻고, 새 옷을 입고 드리는 게 자손 된 도리입니다. 제사와 달리 술은 한 번만 올리고 축문은 읽지 않습니다. 

  장자(손)가 주인(主人)으로 차례를 주도하고, 그 아내가 주부(主夫)로 이를 돕습니다. 

  차례상 앞에 일가족이 모인 뒤 주인이 향을 태우고 술을 그릇에 따른 뒤 물러나 두 번 절합니다. 

  모두 함께 절을 합니다.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합니다. 

  주부가 방금 끓인 떡국과 탕·전을 상에 올립니다. 

  주인이 신위 앞 잔에 술을 붓고 두 번 절합니다. 

  주부가 떡국에 숟가락을 꽂아 담그고 젓가락을 시접(匙<696A>·제사 지낼 때 수저를 담는 놋그릇)에 얹습니다. 주부는 네 번 절하고 물러납니다. 

  일가족이 잠시 공손히 서 있다 주부가 숟가락·젓가락을 빼 시접에 넣습니다. 

  다시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하고 주인은 지방을 태웁니다. (여자는 남자보다 상대적으로 가볍게 큰절을 하기에 네 번 했지만 오늘날에는 두 번 해도 관계없습니다.)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눠 먹습니다. 

 



세배 하는 방법

 


◎ 남자의 세배법

1. 공수(남자는 왼손이 위로가게 포개 잡는 것)하고 어른을 향해 섭니다.

2. 공수한 손을 눈 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리면서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을 바닥에 짚습니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꿇어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습니다.

4.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를 공수한 손등 가까이에 댑니다. 이 때 엉덩이가 들리면 안 됩니다.

5. 공손함이 드러나도록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펴고, 오른쪽 무릎을 세워 공수한 손을 바닥에서 떼어 오른쪽 무릎 위를 짚고 일어 납니다.

6. 공수한 손을 눈 높이까지 올렸다가 내린 후 묵례 합니다.

◎ 여자의 세배법

1. 공수한 손(여자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포개 잡는 것)을 들어 어깨 높이 만큼 올리고 시선은 손등을 봅니다.

2. 왼쪽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쪽 무릎을 가지런히 꿇은 다음 엉덩이를 깊이 내려앉습니다.

3. 윗몸을 45°쯤 앞으로 굽힌 다음 잠시 머물러 있다가 윗몸을 일으킵니다. 머리를 깊이 숙이지 못하는 이유는 머리 장식 때문입니다.

4.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고 일어나 두 발을 모은 후 올렸던 두 손을 내려 공수한 후 가볍게 묵례 합니다.

세배는 예를 갖춘 큰절로 합니다. 여자의 경우 양손을 옆으로 짚는 건 평절, 양손을 이마에 붙이고 무릎 꿇어 절하는 게 큰절인데요, 남자는 이마를 바닥을 짚은 손등에 붙여 얼마간 머무르는 게 큰절입니다.

남자는 왼손,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해 맞잡고 꿇어앉을 때 남자는 왼발이 앞쪽, 여자는 오른발이 앞쪽이 되게 발등을 포갭니다. 남자는 손바닥과 팔꿈치가 땅에 닿고 여자는 닿지 않습니다. 왼 무릎을 먼저 꿇으며 앉고, 일어설 때는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는 것은 공통입니다. 손을 벌리지 않고 모으며, 엉덩이를 들지 않는 것이 제대로 된 자세입니다.

 



지금까지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차림그림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시례(時禮)’라는 말이 있습니다. ‘시대 상황에 적합한 예법’이라는 뜻인데요, 조상 제사의 지침을 마련한 주자가례 와 조선의 예학자들도 제사는 주어진 상황에 맞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나와 있다고 합니다.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



즉,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말로, 결국 조상 제사의 본질은 조상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마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람직한 조상 제사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정성을 다하는 것이 아닐까요? 올해 설에는 힘들게 차례상을 준비하느라고 가족 간 마음 상하기 보다는 설 차례상 간소하게차리는법을 시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출처 : 한국유교문화진흥원

 

2024.01.31 - [정보] -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붙이는 방법 떼는시기 뜻 붓글씨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붙이는 방법 떼는시기 뜻 붓글씨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붙이는 방법 떼는시기 뜻 붓글씨 파일을 사용하실 수 있도록 소개하겠습니다. 다가오는 2월 4일은 입춘입니다. 17시 27분이 입춘시인데요, 이 말은 2월 4일

returntobayaya.riduangoh.com

2024.01.27 - [정보] - 소불고기 황금레시피 양념만들기

 

소불고기 황금레시피 양념만들기

소불고기 황금레시피 양념만들기 방법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불고기의 주재료인 소고기 목심에는 필수 아미노산은 물론 칼슘, 인 등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합니다. 또한 기력 보충과 혈

returntobayaya.riduangoh.com

2024.01.22 - [정보] - 소고기무국 맛있게 하는법 황금레시피 깊은맛 내는 비법

 

소고기무국 맛있게 하는법 황금레시피 깊은맛 내는 비법

소고기무국 맛있게 하는법 황금레시피 깊은맛 내는 비법을 소개합니다. 무는 마트에서 저렴하게 살 수 있는 채소로, 열량이 적고 섬유소와 무기질이 풍부합니다. 특히 가을에 수확한 무는 '밭에

returntobayaya.riduangoh.com

2023.11.08 - [정보] - 백김치 맛있게 담는법 황금레시피

 

백김치 맛있게 담는법 황금레시피

백김치 맛있게 담는법 황금레시피를 소개합니다. 김치는 하나하나 11가지 재료가 모여 발효과정을 거치면 22가지의 기능성이 있는 식품이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한국의 김치는 다른 어느 나라

returntobayaya.riduangoh.com

 

반응형

댓글